서비스산업 재해자수가 2009년 11월 기준으로 제조업을 뛰어 넘어섰다. 2001년부터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더니 급기야 전체 재해자수 중 35%가 서비스산업에서 발생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다시 말해 10명의 재해자 중 3~4명은 서비스산업 종사자인 셈이다.

서비스산업에서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그동안 산업재해예방 사업이 위험업종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제조업이나 건설업에 치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 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서비스산업에 대한 마땅한 재해예방 프로그램이 국내에 없었던 것도 주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서비스산업에 대한 산업재해예방 지원과 관심이 집중되어야 한다. 경제성장에 따라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1, 2차 산업 위주에서 서비스산업 위주로 급격히 변화되면서 서비스산업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종사자도 1995년 54.8%에서 2007년 66.7%까지 증가했다. OECD를 비롯한 대부분 선진국의 경우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70% 이상인 점을 볼 때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산업구조에 근접하고 있음을 확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는 곧 제조업 종사자 수가 감소하고 서비스 종사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앞으로도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정부와 안전보건관계기관 등은 현 상황에 대처하고 미래 상황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그동안의 제조·건설업 중심의 안전정책이 서비스산업 중심의 산재예방사업을 확대·시행해야 한다.

얼마 전 정부는 산업재해율을 2014년까지 0.5% 미만으로 낮춘다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산재율 감소는 정부에게만 의미 있는 목표가 아니라 명실상부한 선진국을 꿈꾸는 우리 국민 모두에게도 중요한 문제이다. 즉 우리 국민들의 자긍심이 걸려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 중장기 계획이 보다 강화된 서비스산업 산재감소 방안을 추가하여 목표 달성을 꼭 이뤄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산업 산재감소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종사자의 연령·성별·근무형태 등 서비스산업만의 특성도 철저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최근 서비스 산업시장에도 고령화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고령인력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또 사회적 인식변화에 따라 활동의 폭이 넓어진 기혼 여성들의 유입도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산업만의 특성을 꼭 감안한 방안이 나와야만 그 실효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성에 맞는 안전대책과 더불어 정부는 서비스산업 재해에 대한 심각성도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사업주와 종사자들이 인식시켜야 한다. 그리고 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을 감정노동자, 즉 감정 표출을 억제하여 업무에 종사하는 노동자라고 표현 하듯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오는 심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요통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근로자의 건강과 보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도 펼쳐야 할 것이다.

올해 노동부 안전보건정책에 서비스업 재해감소 사업이 포함됐고,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도 서비스업재해예방실을 운영하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재해예방 대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부디 앞서 말한 사항들이 정책에 반영되어 획기적인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전기가 마련되길 바라는 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