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지반 등 15종 정보 2019년까지 통합

지하공간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하시설물(상하수도·통신·난방·전력·가스), 지하구조물(공동구·지하철·지하보도·차도·상가·주차장), 지반(시추·관정·지질) 등 15종의 정보를 통합해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관리기관별로 구축·관리되고 있는 지하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계획(2016~2019년)’을 마련해 시범구축사업을 시작했다.

올해 처음으로 ‘부산 해운대구’를 비롯해 ‘서울 송파구’와 ‘대전 서구’, ‘세종시’ 등 4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시범사업은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이어서는 광역시 등 8곳에서 본격적인 통합지도 구축사업이 추진된다.

또 국토부는 5개 부처, 14개 법령, 4개 시스템으로 흩어져 있는 15종의 지하정보를 오는 2019년까지 통합된 지도로 구축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되면 사물인터넷 기술 등과 연계해 과학적 분석과 예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하공간의 안전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토부는 통합지도를 통해 지하공간의 안전관리를 위한 땅속 정보를 활용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해 ▲한 눈에 보는 지하정보 ▲다 함께 쓰는 정보시스템 ▲막힘없는 원스톱 지원 ▲쉽고 투명한 가이드라인 등 4대 추진전략과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범정부 활용을 위한 지하공간 정보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지하시설물과 지하구조물 및 지반정보 등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아울러 시설물의 ‘밀집도·구축물량·사업연계성’ 등을 고려해 2017년까지 전국 85개 시 단위 지자체 중 우선 특별시와 광역시 8곳을 구축하고, 2018년과 2019년에 나머지 시에 대해 구축에 들어간다.

이미 구축돼 있는 ‘지하시설물·시추·관정·지질정보’ 등은 연계·활용하고 ‘지하차도·지하상가·지하철’ 등 지하구조물 정보는 신규로 구축된다.

지하구조물은 흙으로 덮여있어 일반적인 측량 방식으로는 위치측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설물 준공도면 등을 활용해 지하구조물의 형태를 만들고 위치보완 측량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구축할 방침이다.

◇지하공간사고,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통합·활용체계도 스마트하게
스마트한 지하정보 통합·활용체계도 갖춘다. 기관별로 산재된 정보를 취합·가공해 생산된 통합지도에 가시화·분석·연계·활용 기능을 포함한 종합적인 활용시스템을 구축한다.

지하공간 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단편적인 시설물 관리만으로는 사고 예방을 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해, 통합지도를 기반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지반침하 등의 안전사고 대응·분석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통합지도 구축과 갱신·활용 등의 컨설팅 전문기관을 지정, 지하정보 활용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국토부는 광역시의 통합지도 구축에 앞서 ‘지하정보 지원센터’를 우선 설치해, 통합되지 않은 정보를 수요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이후 통합지도가 구축되면 지하정보 활용 기술지원과 지하정보 생애주기에 맞춰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환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국토부는 ▲지하정보 관련 법제도 정비 ▲지하공간통합지도를 3D 형태를 기반으로 2D 지원까지 가능한 지도로 구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