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은 지난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 관계장관회의에서 “지난해 산업재해로 960여명의 안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특히 건설사고 사망자가 14%나 증가했다”고 지적하며 “대책들을 점검하고 보완해 안전관리 시스템을 더욱 확고히 하고 안전문화를 현장에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안전을 확고히 지키는 일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 13일에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국시설안전공단을 찾아 “국민들이 요구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에는 안전한 대한민국도 포함돼 있다”라며 “국민의 안전이 제일이라는 자세로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안전에 대한 신념을 밝혔다. 특히 문 전 대표는 “국가 주요시설물인 도로, 항만, 교량, 터널 등의 안전을 책임지는 이들을 정규직화 하고 전문인력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면서 안전인력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과 문재인 전 대표는 각각 여권과 야권을 대표하는 인물들이자, 여야의 유력한 차기 대선후보들이다. 이들이 안전에 대해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바람직하며 올바른 일이 아닐 수 없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정치와 안전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안전활동의 기준이자 근거가 되는 법의 제정과 법의 준수 과정, 안전활동의 범위와 활동을 위한 예산 등이 모두 정치에서 시작되고 정치에서 결정된다. 정치와 안전 사이의 중요도는 작금의 정치적 혼란이 세월호 침몰사고에서 시작됐음을 상기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것을 다 떠나 안전이 인간의 기본권이라는 점만으로도 정치와 안전은 상관관계가 매우 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안전신념을 갖고 있는 정치인이 나라의 수장이 되는지가 안전분야에도 매우 중요하다. 다행히 현 시점에서는 긍정적인 전망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상기 언급한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과 문재인 전 대표 외에 안희정 충남도지사,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등 대부분의 대권주자들이 ‘안전한 대한민국 실현’을 공통적으로 약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문제는 초지일관(初志一貫)과 공약실천(公約實踐), 언행일치(言行一致) 이 세 가지다. 그동안 우리 국민은 처음에 세운 뜻을 버리는 지도자를 많이 겪었으며,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는 것을 수없이 목도했고, 말과 행동이 다른 지도자들의 모습에 매번 절망해왔다.

반복되는 거짓 속에 정치는 환멸의 대상이 됐고, 바른 정치의 지원을 받지 못한 안전은 표류를 거듭해왔다. 그 결과 안전은 귀찮은 존재, 보여주기 위한 존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OECD 가입국 중 최하위의 안전수준은 당연한 결과였다. 정확히 정치의 수준만큼 안전도 그 자리에 있을 뿐이었다.

이제 세상은 변화의 기로에 서있다. 정치가 변하면 안전도 변할 것이 자명하다. 대한민국의 다음 지도자는 말과 행동함에 그릇됨이 없이 약속한 바를 끝까지 지켜서 안전의 가치를 격상시켜 주길 바란다. 또한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주고, 실효성이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기술발전과 인재육성을 위해 관련 산업 및 학문을 장려해 주었으면 한다. 그리고 안전에 몸담고 있는 사람을 진심으로 존중해 주기를 부탁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