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2년째 제자리 걸음

(이미지 제공: 뉴시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또 3만 달러의 벽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도 2015년에 이어 2년째 2%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8일 한국은행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6년 국민계정(잠정)’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2만7561달러로 전년(2만7171 달러) 대비 1.4% 증가했다. 참고로 1인당 GNI는 지난 2006년 2만 달러대로 올라선 뒤 11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3198만4000원으로 전년보다 4.0% 증가했다. 달러로 표시한 소득 증가율이 훨씬 낮았던 이유는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2.6% 상승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632 달러로 전년 대비 0.9% 늘었다. 원화 기준(1814만원)으로는 전년 대비 3.5% 증가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호황…제조·서비스업은 부진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은 2.8%로 집계됐다.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2014년을 제외하면 계속 2%대에 머물고 있는 추세다.

실제 2012년(2.3%)과 2013년(2.9%) 2년 연속 2%대를 기록한 뒤 2014년(3.3%) 반등세를 보이다 2015년 2.8%로 떨어진 뒤 2016년에도 같은 수준에 그쳤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지난해 건설업 생산은 전년 대비 10.5%나 늘었다.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건설업 생산 증가율은 2014년 0.8%, 2015년 5.7%, 2016년 10.5%로 상승곡선을 그렸다. 특히 주택 부문이 성장을 견인했다. 주거용 건물 건설은 전년 대비 27.7%나 늘었고 비주거용 건물은 13.0% 증가했다. 토목건설은 오히려 1.9% 감소했다.

반면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은 2%대 초반의 낮은 성장률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조업 생산은 전년 대비 2.3% 증가해 2015년(1.8%)보다는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2%대 초반의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석유 및 석탄제품(8.6%), 화학제품(7.3%), 정밀기기(7.5%), 전기 및 전자기기(4.7%) 등의 생산이 비교적 큰 폭으로 늘었지만 조선업 부진의 영향으로 운송장비는 3.9% 감소했다.

서비스업 성장률은 2.3%를 기록해 2015년(2.8%)에 비해 성장세가 꺾였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7.8%), 도소매(3.5%) 등의 업종은 비교적 성장률이 높았지만 음식 및 숙박(0.0%), 부동산 및 임대(0.5%), 교육서비 스(0.6%) 등의 업종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농림어업의 성장률은 -2.9%로 2015년(-0.4%)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2.5%, 정부소비는 4.3% 늘었다. 건설투자는 10.7%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2.3% 감소했다. 수출과 수입 증가율은 각각 2.1%와 4.5%를 기록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조411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1637조4000억원을 기록해 4.7% 늘었다.

GDP 디플레이터는 1.8%를 기록해 2015년(2.4%)에 비해 하락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