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홈페이지에 시설물 안전상태·관리이력 등 공개

서울시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교량, 터널 등 도시 인프라를 통합관리한다.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예산을 절감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최근 ‘서울 인프라 다음 100년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시내 전체 도시 인프라(시설물 2394개소, 관로 및 궤도 2만5108㎞)의 70% 이상은 1970~1980년대 압축 성장 시기에 집중적으로 건설됐다.

이에 따라 2016년 기준으로 33%인 노후화 비율은 오는 2036년 86%까지 급증한다. 이와 함께 2016년 8849억원인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도 2027년경에는 2조7687억원으로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시는 프로젝트를 통해 ‘단기적 유지보수와 사후관리’에 방점이 찍혀있던 기존의 시설물 관리 기법을 ‘미래를 대비한 중장기적·선제적 대응’ 방식으로 전환키로 했다. 시민안전은 물론이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성까지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시는 안전총괄본부를 컨트롤타워로 지정해 그동안 제각각으로 진행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시설물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각 시설물의 상태변화, 유지관리비용 등을 예측·분석해 최적의 보수·보강시점을 산출해 낼 계획이다.

◇30년 넘은 시설물 ‘실태평가 보고서’ 작성 의무화
시가 발표한 프로젝트에는 교량, 터널, 상하수도 등 30년이 넘은 시설물에 대한 ‘실태 평가 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하고 5년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시는 도시인프라와 관련된 14개 관리 부서간의 협업을 통해 노후 기반 시설에 대한 연차별 투자계획을 담은 ‘종합관리계획’을 2020년 6월까지 수립할 방침이다. 시는 종합관리계획에서의 실태평가 결과를 토대로 우선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시설을 선정한 후 연차별 투자계획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실태평가 보고서 및 종합관리계획 수립 시 객관적 기준이 될 통합기준매뉴얼도 올해 안에 수립키로 했다.

이밖에도 시는 내년부터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시설물의 정보(역사, 안전상태, 관리이력, 보수·보강계획 등)를 전면 공개하고, 시설물을 이용하는 시민이 직접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성과지표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현 시점의 안전뿐 아니라 미래 시민들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과 협조해 제도‧관리시스템 등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