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소득의 33%, 원리금 상환에 사용

지난 6년 사이 부채보유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이 90% 가까이 증가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부채보유가계의 처분가능 소득은 33.8% 증가하는데 그쳤다.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증가하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뜻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지난 6일 발표한 ‘2017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부채 보유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2010년 826만원에서 2016년 1548만원으로 87.4% 증가했다.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타 가구로의 이전 등의 비소비지출을 공제하고 남는 소득, 즉 가구에서 자유롭게 소비지출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처분가능소득 4635만 원 중 1548만원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했다. 처분가능소득 중 원리금 상환 비중은 2013년 24.5%, 2014년 27.3%, 2015년 29.7% 등으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인데 이어 지난해에는 33.3%까지 급등했다. 이는 지난 한 해 빚을 지고 있는 가구가 가처분소득의 약 3분의 1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앞으로의 상황도 비관적이라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부채상환방식을 거치식에서 비거치식·분할상환 방식으로 유도하고 있어 향후 원리금 상환부담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최근 미국 금리인상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보고서는 “이자율 상승에 따른 가계 부채의 원리금 상환부담 확대는 지출가능 소득을 감소시켜 가계소비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보고서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발표한 기존 전망치(2.7%)보다 0.2%포인트 상향된 것이다. 보고서는 “수출은 선진국과 신흥개도국의 수입수요 확대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설비투자는 정보기술(IT)과 석유제품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며 “민간소비는 소득증가세 둔화, 가계부채 등 구조적 제약요인으로 부진해 성장기여도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