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사회 전반에 융합되면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4차 산업혁명’은 지난해 세계 경제 포럼에서 언급된 이래 전 세계 산업의 틀을 뒤흔드는 태풍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 10일 정부에 따르면 최근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와 운영을 위한 규정안이 차관회의를 통과해 국무회의 상정을 앞두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통해 ‘신성장 동력 발굴’과 ‘대규모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민간 주도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 자리를 총리급 민간에 맡기기로 하는 등 다른 위원회와 차별화했다.

정부가 앞장서자 서울시 등 주요 지자체도 관련 인재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등 4차 산업혁명이 국정의 핵심으로 올라서는 분위기다. 산업현장도 분주하다. 주요 대기업과 IT업계를 필두로 발 빠르게 4차 산업 혁명을 맞이하고 있다.

그런데 요동치는 타 산업분야와 달리 국내 산업안전보건분야에서는 그 파급력이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일부 대기업이 드론을 활용해 위험지역 안전점검을 실시하거나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이제 막 시도 하고 있을 뿐 업계 대부분이 큰 관심을 두고 있지 않는 듯하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4차 산업혁명’은 OECD 하위권의 우리 안전수준을 끌어올리고 ‘사후 대응’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패러다임을 ‘사전 예방 체계’로 바꿀 힘이 있다.

근래 사고가 다발해 국민들의 우려가 높은 타워크레인이 그 대표적인 예다. 단순히 안전점검을 하는 차원을 벗어나 정비이력, 사용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노후 및 과사용에 따른 위험도를 체크하고 장비 별로 센서를 달아 운용상태를 실시간 확인 하면 사전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최근 주요 기업이 도입 중에 있는 스마트 팩토리도 사고의 근본적인 차단에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공장 내 모든 설비와 기계에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설비 관리를 하는 것이다. 설비간 주고받는 정보를 통해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예측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를 면밀히 살펴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설비에 대해선 사전에 조치를 취하여 사고로 연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기기와 융합한 가상현실 교육을 통해 안전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업종·현장별로 적합한 맞춤형 안전관리를 전개할 수 있게 한다. 실로 활용방안은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다.

문제는 ‘지원’과 ‘관심’이다. 아직도 산업 현장 곳곳에서 경영의 핵심가치인 안전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면서 ‘안전’과 ‘4차 산업혁명’의 융합이 적극적으로 시도 되지 못하고 있다. 즉, 강력한 안전리더십에 의한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안전’과 ‘4차 산업혁명’의 효용성에 보다 많은 관심이 쏟아질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먼저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선도적인 활동에 나서는 기업의 우수사례를 널리 알려야 한다. 이와 함께 관심은 있으나 여력이 되지 않는 중소기업에 대한 인적·물적 지원도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중소기업의 위험시설 개선에 투입되는 정부 지원금을 활용하는 것도 적절한 방안 중 하나다.

우리는 기로에 서있다. 먼저 준비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안전강국이 될지, 아니면 머뭇거리다가 사고공화국의 오명을 계속 이어갈지. 후자를 바라는 이는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