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신호 운영체계가 운전자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개선된다.

서울경찰청은 8일 교통 신호운영 체계를 차량소통과 운전자 중심에서 사람과 보행자 중심으로 개선해 교통안전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는 총 335명이었다. 이 가운데 보행자는 192명(57.3%), 노약자는 137명(40.8%), 노약자중 보행자는 102명(74.5%)이 사망했다.

2016년에는 교통사고로 34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중 13m 미만 이면도로에서 176명(51%), 야간 시간대(오후 6시∼익일 오전 6시) 201명(58.3%)이 숨졌다.

이에 따라 경찰은 ▲보행자 ▲노약자 ▲이면도로 ▲야간 시간대를 중심으로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경찰은 보행자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횡단보도 보행 녹색시간 부여 기준을 횡단보도의 중간길이에서 가장 긴 부분으로 변경해 횡단시간을 늘린다. 신호가 바뀌는 사이에 여유시간을 1~3초 부여해 차량과 보행자간 충돌을 방지한다.

노약자 교통안전은 차도폭 13m미만 도로에 있는 횡단보도의 보행속도 기준을 완화해 0.8m/s(일반인 기준 1.0m/s)를 적용한다. 노약자 통행이 잦은 복지시설, 학교 등 주변 교차로에 있는 모든 횡단보도에 보행신호를 동시에 부여해 모든 방향 차량이 정지한 후 보행자가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면도로의 경우 차도폭 13m미만 도로의 신호주기를 축소, 보행자 대기시간을 줄여 신호위반과 무단횡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한다.

야간시간대에는 현재 운영중인 점멸신호 총 2476개소에서 발생한 모든 교통사고를 분석해 최근 3년간 교통사고가 1건 이상이 발생하거나 그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곳은 정상신호로 운영할 예정이다. 심야 시간대에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은 신호연동을 해제할 방침이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교통 사망사고의 경우 보행자·노약자·이면도로·야간 시간대 발생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교통신호 전문가, 경찰서 등 의견도 폭넓게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