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협력 시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 도입 추진

정부가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 방식을 민간 중심으로 전환한다.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지난 8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에 소재한 광화문 KT 지사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논의·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정부는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을 위해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기존에는 정부가 지원하거나 대기업이 지원하는 이원화된 방식으로 운영됐다.

스마트 공장 현장수요 발굴에도 적극 나선다. 지자체-지방중기청-TP(테크노파크) 등으로 구성된 유관기관 협의체를 통해 현장수요를 발굴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R&D, 자금 등 정책수단을 연계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6개 국가산업단지를 스마트공장 확산거점으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R&D, 직무전환 교육 등 지원 강화
정부는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을 비롯해 AI·VR 등 고도화 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업종별·지역별로 시범공장을 올해 6개에서 2022년까지 50개로 늘리고, 대표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공동 활용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구축기업의 수준 향상도 본격화한다. 올해 1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생산정보 디지털화 및 제품의 생산이력 관리(기초단계) ▲생산정보 실시간 수집·분석(중간단계1) ▲시스템을 통한 생산공정 제어(중간단계2) 등의 순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전용사업도 신설한다. 이밖에도 공급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해 대·중견·중소기업 간 ‘스마트공장 얼라이언스(Smart Factory Alliance)’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전문 인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한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2022년까지 5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제품생산이 가능한 학습형 스마트공장도 1곳 더 설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 및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올해 4개 대학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