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광수의 마음 돋보기

문광수 교수(중앙대 심리학과)
문광수 교수(중앙대 심리학과)

 

지금 국내에 이뤄지고 있는 기업의 많은 안전 활동과 프로그램들의 대부분은 안전 절차를 통해 이익을 얻는 경영진이나 근로자가 아닌 정부기관(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등)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 것 같다.

주체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인의식, 몰입, 능동적 행동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보상을 얻기 위해서가 아닌 페널티를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동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궁극적인 기업의 안전 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회사의 미션으로 삼는 등의 기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일부 기업들은 정부의 규제를 넘어서 자발적으로 추가적인 안전 미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안전 프로그램은 모든 구성원(임원진,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근로자,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스스로 하고 싶어 하는 프로그램으로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 일정 기간 동안 시행하다 그만 두는 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회사 내부에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맞춤형으로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안전운영 관리체계를 모든 부서가 똑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획일화된 프로그램이 아닌 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는 체계로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성공적인 안전관리 프로그램으로 자주 언급되는 BBS(Behavior-Based Safety: 행동기반 안전관리), Dupont의 STOP, PBS(People-Based Safety) 프로그램들의 특징을 기존 안전관리와 비교해서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을 것이다.

지금까지 근로자의 안전 행동 유도를 위해, 매뉴얼 작업, 법정 교육과 훈련 등을 실시해 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단기 프로그램은 근로자의 안전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도 잘못 적용하면 효과가 없다. 예를 들어 BBS 프로그램에서 관찰을 강제적으로 시키는 것은 프로그램의 취지나 패러다임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고 대부분의 이런 BBS의 적용은 실패하게 된다.

이제는 장기적인 안목과 목표를 가지고 안전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진행하기 위해 이제는 안전관리에 대한 어떤 패러다임이 필요한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