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환경오염·성폭력 등 상대적 불안감 높아

올 상반기 국민이 느끼는 안전체감도는 5점 만점에 2.86점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가장 불안한 분야로 사회적 이슈였던 환경오염과 대형화재 등을 꼽았다.

행정안전부는 올 상반기에 일반국민 1만 명과 전문가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결과’를 지난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안전체감도는 5점 만점에 2.86점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보다 0.09점 상승한 수치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민이 생각하는 안전한 분야로는 원전사고(3.0점), 안보위협(2.95점) 등이 선택됐다. 안보위협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2.55점)에 비해 0.4점 상승했는데, 이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에 따른 평화 분위기 조성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재해(2.67점), 교통사고(2.46점), 자연재난(2.86점), 화학물질 유출사고(2.92점), 자연재난(2.86점) 등의 안전체감도는 소폭 상승하거나 동률을 이뤘다.

반면, 환경오염(2.27점)과 화재(2.65) 안전체감도는 작년 하반기 대비 각각 0.2점, 0.12점 감소했다. 환경오염의 경우 봄철 미세먼지의 영향을, 화재의 경우 지난 1월 밀양화재와 지난 6월 세종시 공사장 화재 등 잇따른 대형 화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올해 초부터 급속도로 번진 ‘미투’ 운동으로 인해 성폭력 안전 체감도 역시 2.44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올해 새롭게 조사한 안전관리 주체별 위험관리 역량 수준은 정부차원에서 소방·해경이 가장 높았고 지자체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소방·해경의 경우 화재 등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초기에 출동, 대응하는 기관으로 역량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으로 해석된다. 민간차원에서는 일반국민, 전문가 모두가 민간기업의 위험관리 역량 수준을 ‘개인’보다 낮게 평가했다.

◇정부, 각 부처별 개선대책 마련
정부는 국민의 관심이 높거나 안전체감도가 낮은 분야에 대해 부처별로 개선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우선 국토교통부는 용산 건축물 붕괴사고 이후 지자체별 안전취약 건축물에 대한 점검을 추진한다. 소방청은 지난 7월부터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해 화재안전 특별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장 초동 대응인력 1만8500명을 단계적으로 충원하는 등 화재대응시스템을 보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해 분기별로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있으며 10월까지 보완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