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록 한국안전학회 회장

안전보건분야 연구 성과 공유, 인적교류 등 국제협력 적극 추진

한국안전학회는 안전에 관한 학문적 연구 및 기술발전을 도모하고 안전한 사회 구축을 목표로, 1986년 설립된 국내 최고의 안전기술 연구기관이다. 각 분야별 연구전문가 1,000여 명으로 구성된 이곳에서는, 기초학술 연구는 물론 국가의 안전정책 연구에 적극 참여하며 우리나라가 안전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신 안전보건 트렌드를 반영한 미래 대응형 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을 활발히 추진하는 가운데, 정기학술대회 등 산업안전분야 발전을 위한 국내외 학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기도 하다.
본지는 한국안전학회를 이끌고 있는 장성록 교수를 만나 학회가 중점 추진해 온 활동과 성과, 산재예방정책 발전방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Q. 회장님에 대해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부경대학교 교수로 부임해 30여 년 동안 학생들에게 안전공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고용노동부의 조선업 안전관리 평가위원, 사업장 안전보건활동 평가위원, 안전보건공단의 근골격계질환 자문위원, KOSHA 180010 프로그램 평가위원, 산업보건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인간공학회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안전학회는 교수 부임 직후인 1990년부터 회원으로 첫 활동을 시작하여 기획이사, 학술이사, 학술부회장 겸 편집위원장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올해 3월, 회장으로 취임했습니다.

Q. 산업재해(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산재예방 및 감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재해의 근본원인은 사람이 규칙 또는 안전작업절차를 준수하지 않거나(violation) 사람이 실수를 할 수밖에 없는 존재(human error)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재해를 유발시킨 사람을 무조건 비난하거나 제재를 해서는 안됩니다. 이 방법으로는 절대 궁극적인 안전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안전전문가는 공학적 지식과 더불어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violation이나 human error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을 찾아 그 원인을 제거하고, 안전을 확보해나가야 합니다. 즉, violation을 줄이는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human error에 대응하는 근원적인 안전이 확보되도록, 시스템 수명 주기의 설계 단계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안전관리를 전개해나가야 합니다. 

Q. 사고성 사망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를 비롯한 각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망재해의 예방 및 저감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 및 각 안전유관기관에서는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구호성 대책에 그친다면 사고성 사망재해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가령 대형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안전불감증이다”, “인재로 밝혀졌다”, “안전을 관리할 정부조직을 신설한다”, “안전 예산을 증액시켜야 한다” 등등 수많은 목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물론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분명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다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재해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동일 재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안전 전문가가 머리를 맞대 현실 적용성이 높은 재발방지책을 수립하고, 기업은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합니다. 또 정부는 안전의무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등 각종 안전 관련 제도를 법제화해야 합니다.
다시 부언하자면 우리사회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일정 기간 동안 목표를 설정해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정부와 학계, 기업, 국민 등 사회 구성원 모두가 힘을 모아 ‘사후 대응’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패러다임을 ‘사전 예방 체계’로 전환하고 이를 꾸준히 실천해 나가야 합니다.

Q. 학회장 임기 동안 반드시 추진하고 싶으신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안전 관련 연구의 패러다임도 변화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복잡화, 광역화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의 정형화돼 있던 산업의 틀을 완전히 깨버릴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해 등장할 새로운 위험요인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제 간 연구 활성화와 연구자간 협업이 필요합니다.
이에 우리 학회는 기존의 기계안전, 화학안전, 전기안전, 건설안전, 인간공학 부문위원회에서 안전정책, 재난안전, 리스크관리, 원자력안전, 수송안전, 연구실안전, 안전산업, 학교안전 부문위원회를 보강해 분야 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안전분야에 접목해 나가기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자들만의 힘으로 새롭고 다양한 위험요인 모두를 다루는 데 힘이 부치는 것이 사실입니다. 앞으로는 정부부처와 안전유관기관 및 기업 관계자, 안전전문가, 국민 등이 함께 의견을 제시하고 논의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꾸준히 마련하여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효성 있는 연구를 적극 추진해 나가고 싶습니다.
아울러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학술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올해 10월 18일 일본 노동안전위생종합연구소와 학술연구 관련 정보교환, 교수 및 연구원의 상호 교류, 연구시설 및 설비의 상호 이용, 기타 연구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또한, 학회에서 격년으로 개최 중인 APSS(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를 더욱 활성화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