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15일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미야기현 미나미산리쿠에서 구호 트럭들이 일렬로 지나가고 있는 모습. 오는 11일이면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한 지 꼭 8년이 된다.
2011년 3월 15일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미야기현 미나미산리쿠에서 구호 트럭들이 일렬로 지나가고 있는 모습. 오는 11일이면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한 지 꼭 8년이 된다.
(이미지 제공 : 뉴시스)

 

안전저널은 창간 이래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사고의 현장 속을 항상 누벼왔습니다. 이슈가 발생한 시점부터 그 처리와 결말까지 생생히 전해왔습니다. 안전저널 창간 10주년을 기념해 매월, 10년의 시간 동안 그 달에 가장 큰 이슈가 됐던 사건사고를 선정해 당시 상황을 되돌아보고, 그것이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8년 전 이달에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동일본대지진에 의해 사망 실종자 1만9000여 명, 재산 피해 규모 17조 엔이라는 전대미문의 피해를 입었다. 이 뿐만이 아니다.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발전소가 침수되면서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돼 핵연료 용융과 수소 폭발이 일어났다. 열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 대신 바닷물을 사용하면서 방사성 물질을 머금은 오염수가 그대로 태평양으로 누출됐다. 아울러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 토양에서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 및 요오드, 세슘 등이 발견될 정도로 후쿠시마 인근 지역은 방사성 물질로 뒤덮였다. 지난 2016년 일본 경제산업성이 재추산한 사고 처리비용은 21조5000억엔(약 219조2100억원)에 달했다. 그리고 후쿠시마는 8년이 지난 지금도 방사능 후유증을 겪고 있다.

 

8년이 지난 지금

일본 동북부대지진에서 비롯된 방사능 누출 사고는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원자력 안전성 강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으며, 독일은 자국 내 모든 원전을 폐기할 것을 선언하기도 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불과 1,250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는 그 불안감이 더 클 수밖에 없었다. 이에 국내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방사능 예방대책에 대한 총체적인 재검토 작업이 실시됐다.
그러나 8년이 지난 지금도 2016년 9월 경주 지진(규모 5.8), 2017년 11월 포항 지진(규모 5.4) 등 대형 지진의 발생으로 원전사고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2025년까지 6700억 원을 투입해 원자력발전소 사고 대응, 안전성평가, 전문 인력 확보 등 원전 안전기술 역량 강화에 힘을 쏟겠다고 발표했지만 원전의 지속 운영에 대한 반발 또한 상당하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정부는 장기적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과 방사능 물질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원전 사고 위험성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대피 방안과 훈련 등도 함께 고안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