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코로나19를 계기로 급격히 확대된 ‘재택근무’의 실시 현황에 대해 기업 인사담당자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택근무 활용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직업정보 서비스 제공업체인 잡플래닛에 위탁해 5인 이상 사업장의 인사담당자 400명과 근로자 878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이루어졌다.

먼저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재택근무를 운영한다’는 응답이 48.8%로 절반에 달했다.

기업 규모별 실시비율은 ▲10∼29인이 43.9% ▲30∼99인이 42.7% ▲100~299인이 54.0% ▲300인 이상이 51.5%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66.7%),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66.7%), 교육서비스업(62.5%), 정보통신업(61.5%) 등에서 실시비율이 높았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85.7%), 제조업(66.0%), 도매 및 소매업(63.8%) 등에서는 운영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직원의 범위를 살펴보면, 특정 직무나 근로자 등 범위를 한정하여 재택근무를 허용하는 경우가 53.3%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46.7%)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운영하지 않는 사유(복수응답)로는 ‘인사노무관리의 어려움’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업주 또는 경영진의 반대’가 35.1%, ‘인프라 구축 등 비용 부담’이 34.2%로 그 뒤를 이었다.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데 있어 어려운 점(복수응답)으로는 ‘의사소통 곤란(62.6%)’이 가장 많이 꼽혔고,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것이 곤란한 직무 직원과의 형평성 문제(44.1%)’, ‘성과관리·평가의 어려움(40.0%)’ 등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아울러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전사적으로나 일부 근로자에 한해 계속 시행하겠다는 응답이 51.8%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필요한 것(복수응답)으로는 인프라 구축 등 비용지원(42.5%), 사회적 분위기 확산(38.8%), 노동법 가이드라인 마련(35.5%) 등을 언급했다.

다음으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재택근무 경험 여부가 ‘있다’고 응답한 근로자(34.1%)보다 ‘없다’고 응답한 근로자(65.9%)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근로자의 주당 활용 횟수는 1일이 21.1%로 가장 많았고, 이어 2일(16.1%), 5일 이상(15.1%), 3일(14.0%)순으로 집계됐다.

또한 재택근무의 활성화를 위해 기업차원에서 ‘자유로운 제도 활용 분위기 조성’, 정부차원에서 ‘노동법 가이드라인 마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재택근무의 업무 효율성에 대해서는 인사담당자와 근로자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 가운데 재택근무로 인해 업무효율이 높아졌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매우 그렇다’와 ‘그런 편이다’를 포함해 66.7%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33.3%에 불과했다.
근로자의 경우 ‘매우 그렇다’와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73.9%에 달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일·생활균형 누리집(www.worklif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