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로 4대 스포츠 이벤트 모두 개최, 경제적 파급효과는 65조원

 


평창이 3수 끝에 2018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평창은 지난 6일 밤(한국 시간)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제123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의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1차 투표에서 총 95표 중 63표를 얻어 압도적인 1위에 올랐다.

당초 2차 투표까지 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넘기면서 개최가 확정됐다. 1차 투표에서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는 각각 25표와 7표를 얻는데 그쳤다.

평창은 지난 두 차례의 동계올림픽 도전에서 1차 최다득표 후에도 2차 결선투표에서 거푸 뒤집힌 아픔을 가지고 있었다. 2010동계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된 2003체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는 1차 투표 때 51표로 밴쿠버(40표)를 제쳤지만 2차 투표에서 53대56으로 역전당하고 말았다.

2014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됐던 2007과테말라시티 IOC 총회에서도 1차 투표 때 36표를 얻으며 소치(34표)와 잘츠부르크(25표)를 따돌렸지만 결국 2차 결선투표에서 소치에 47대51로 개최권을 내준 바 있다.

이번에 우리나라가 동계올림픽을 유치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지난 2차례의 실패가 큰 교훈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병국 문화체육부 장관은 “과거 2차례 유치단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의견을 종합해 두 번 다시 실수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준비했다”라며 “모든 준비과정이 끝난 뒤에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정 장관은 “IOC 위원들을 유형별로 나눠 위원별 파일을 적게는 3장에서 많게는 10장까지 만들어 맞춤식 접촉을 시도했다”며 “취향과 성향 등을 분석해 구체적으로 작업한 것이 큰 효과를 봤다”고 전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올림픽, 2002년 한·일월드컵,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등 세계 4대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6번째 나라로 기록됐다.

올림픽 유치, 생산유발효과 65조원 이상

유치위원회와 강원도의 ‘개최 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전국 총생산 유발효과는 20조 4,973억원에 이른다. 이는 1998년 서울올림픽의 5배, 2002년 월드컵의 2배에 달하는 것이다.

더 높은 효과를 예상하는 연구보고서도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는 경제 효과가 64조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는 200만명이 넘는 관광객 유치 효과, 스포츠ㆍ문화산업 활성화 효과, 친환경건축 추진 등 환경산업에서 나타나는 효과, 국가ㆍ기업 브랜드 제고 효과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효과가 그대로 나타날 것이라고는 기대하기 힘들다. 1회 대회인 프랑스 샤모니에서 21회 캐나다 벤쿠버에 이르기까지,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 흑자를 낸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특히 나가노와 벤쿠버 동계올림픽은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히고 있다. 나가노 올림픽 조직위는 대회가 끝난 뒤 2,800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수십억 달러의 적자를 봤고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여파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개최지였던 벤쿠버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예산부족으로 IOC 지원을 받으면서 결국 100억 달러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대박 효과를 낸 곳도 분명 존재한다. 미국 동북부의 작은 시골마을 레이크플래시드는 연간 200만명의 관광객이 다녀가는 부자도시로 탈바꿈했고,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도 기록적인 흑자와 함께 올림픽 이후 세계적인 관광지로 거듭났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