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其負愧而生 不如無愧而死 (여기부괴이생 불여무괴이사)
부끄러움을 안고 살기 보다는, 부끄러움 없이 죽는 것이 낫다.

이유원(1814~1888) <의명(義命) >《임하필기(林下筆記)》

이 말은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 송인수(1499~1547)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아들에게 남긴 유지로, 조선후기의 문신인 이유원이 저술을 통해 후대에 밝혔다.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 파직된 상태에 있던 송인수에게 사형이라는 왕명이 떨어졌다. 이에 사자가 명을 전하기 위해 그의 집을 찾았다. 헌데 그날이 마침 송인수의 생일이어서 집에는 많은 친족과 문생들이 모여 있었다.

날벼락 같은 비보에 모인 이들 모두가 통곡을 했지만, 정작 당사자인 송인수는 초연했다. 그는 조금의 놀라는 기색도 없이 목욕을 하고, 관복을 갖추어 입은 다음 아들에게 마지막 말을 남겼다.

“나의 죽음에 괘념치 말고, 부지런히 독서를 하라. 또 술과 여색을 경계하고 공부에 매진하라. 그것이 구천(九泉)의 내 영혼을 위로하는 길이다. 부끄러움을 안고 살기 보다는 부끄러움 없이 죽는 것이 낫다”

실로 죽음 앞에서도 구차하지 않고 의연한 선비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물론 부끄럽게 사는 것을 피하고자 고귀한 생명을 버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부끄러움을 초래한 자신의 잘못을 고쳐 새롭게 거듭나야 할 때도 있고, 떳떳한 사람을 부끄러운 사람으로 몰아가는 세상을 바로잡아야 할 때도 있다.

그러나 이미 끝난 자신의 생명력을 억지로 연장하려고 힘에 빌붙는 행위는 결코 옳은 모습이 아니다. 우리는 정의를 벗어나 구차하게 살기를 도모하는 사람을 볼 때 분노를 느낀다. 또 크나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아무런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을 볼 때 역시 화를 억누르기가 힘들다.

허나 현 시대는 신의와 기개를 최고로 여기던 조선시대가 아니다. 즉 부끄러움을 가지고 생사(生死)를 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대신 이 일화를 인생을 살면서 진퇴(進退)의 시기가 도래했을 때 떠올린다면, 결단을 내리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