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4일 폭설로 서울에 쌓인 눈은 관측사상 최대인 25.8cm였다. 이로 인해 전국 도로 43곳과 고속도로 나들목 7개소가 통제됐으며, 184개 열차가 운행에 차질을 빚었고 수도권 전철 45개 열차가 지연운행됐다.

또한 김포공항은 오후 3시까지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인천공항은 22편이 결항되고, 104편이 지연, 3편은 회항됐다. 다음날에는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면서 경기·서울지역은 말 그대로 지옥의 출퇴근길이 되었다.

기습적인 폭설이라는 불가항력적인 변수가 있었다고 하여도, 기상이변에 대한 지자체, 기상청, 방송사 등의 대응과 시민의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한 문제점이 있었다. 필자는 이점을 지적하고 싶다.

기업에서는 보통 사고가 발생하면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으로 그 원인을 구분한다. 후진 기업의 경우 불안전한 상태, 반대로 선진 기업의 경우에는 불안전한 행동이 원인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듯 불안전한 행동의 주요 변수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계 연구가 활발하다.

그렇다면 기습폭설로 인한 국가적 대란에 대한 상황은 불안전한 상태가 원인이었을까. 아니면 인재에 기인하는 불안전한 행동이 원인이었을까. 여기에서 ‘상태’는 폭설에 대한 설비, 대응전략, 시스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 ‘행동’에는 시민들의 의식이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이번 대란에서는 폭설에 대한 설비 및 장비 부족, 교통대란의 대응전략 부재, 재난 예방 및 기상청 예보 시스템의 미흡 등의 불안전한 상태가 드러났다.

러시아 모스크바와 미국 동부 상습 폭설지역의 대응 자세와 비교해볼 때 수출 세계 10위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폭설 대응전략은 분명 국가고객만족도 측면에서 낙제점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또한 시민들의 의식은 어땠는가. 주요 네거리마다 서로 먼저 가겠다고 차량상부를 들이밀고 진입하는 시민, 스노우체인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갯길을 운전하는 시민, 차가 밀린다며 길가에 차를 세워두고 길을 나선 시민.

개인적으로는 보면 이번 대란은 이들 상태와 행동들 모두가 만들어낸 합작품이 아닌가 싶다. 이런 상황속에 여기에 ‘설마’와 ‘빨리’ 문화의 시급성 등이 혼란에 혼란을 가중시켰다.

이들 상태와 행동으로 직접적인 피해는 국민들에게 갔다. 그리고 간접적으로는 물류대란 등으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의 상승과 엄청난 시간적 낭비, 교통사고 피해, 연료낭비, 업무공백 등등 추정하기 어려운 피해가 발생했다.

안전사고가 발생 한 후, 원인조사에서 제기되는 위험요인은 늘 인재로 나타나는 우리의 현실을 또 한번 직시하면서 하절기 폭우와 동절기 대형 화재 및 폭설에 대한 국가재난시스템의 근원적인 대응전략, 그리고 국민 행동요령의 제기와 시민의식의 변화에 희망을 걸어본다.

대란의 원인이 불안전한 상태가 되었거나 아니면 불안전한 행동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폭우, 화재 및 폭설 등에 재난당국의 철저한 시스템적인 접근과 운영, 그리고 해결을 위한 전략의 재구성 및 리허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른 기상청 예보시스템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도 근원적인 재난예방의 최우선 정책으로 지적된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선진국의 시스템을 벤치마킹과 할 필요성도 있고, 지상파 방송을 중심으로한 신속대응 및 기상예보, 국민 행동요령 등에 대한 홍보활동도 요구된다.

여기에 ‘설마’와 ‘빨리’ 문화에 익숙한 시민들의 행동습관도 이제 변화가 되어야 하고 분명 바뀌어야 한다.
모든 것을 정책당국에 하소연하고 호소하는 것도 국민적인 정서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들(시민들)의 질서에 대한 문화의식도 분명 높은 점수를 받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시민의식을 중심으로 한 불안전한 행동의 변화와 개혁이 앞서갈 때 불안전한 상태의 여러 조건들에 대한 준비와 전략도 더욱 빛을 발한다는 것을 이번 교훈으로 반드시 생각해봐야 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