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態何須歎(세태하수탄)
天心亦往來(천심역왕래)
擧杯今可慰(거배금가위)
明日一陽廻(명일일양회)

세태를 한탄할 게 무에 있으랴, 저 천심도 또한 가고 오는 것을
오늘밤엔 술잔 들고 위안할 수 있나니, 내일이면 미약하나마 양기가 돌아온다네

김의정(金義貞)〈동짓날에 다른 사람의 시에 차운하여[冬至次人韻]〉《잠암일고(潛庵逸稿)》

시인은 조선 중종 연간의 문신이다. 그의 뛰어난 문장과 행동은 당대의 쟁쟁한 명사들부터 극찬을 받았다.

김의정은 한때 실권자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고향인 풍산(豐山)으로 낙향하였다가 김안로가 실각한 뒤에 다시 조정으로 돌아왔다. 이 시의 저작 연대는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낙향 전후의 시점에 지은 시가 아닌가 싶다.

동지는 한 해 중에서 밤이 가장 길다는 날이다. 밤은 어둠이고, 기나긴 어둠은 암울함이다. 대의도 없이 권세가에게 휘둘려 돌아가는 조정과 그런 권력에 굴복하고 빌붙는 부조리한 염량세태(炎凉世態)를 고발했다.

동지는 역학적으로 보면 온통 음기가 가득한 세상에서 약하게나마 양기가 싹을 틔우려는 시점이다. 그렇기에 시인은 절망하기보다는 한 잔 술을 기울이며 내일이면 새로운 세상이 올 것이라는 작은 희망에 스스로를 위안한다.

<자료제공 : 한국고전번역원>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