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질 312만톤, 정확한 사용처 확인 불가

유럽에서는 고위험으로 분류된 화학물질이 국내에는 버젓이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심상정 의원(정의당)이 환경부로부터 지난 2010년 화학물질 유통량 조사결과를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유럽연합의 신화학물질제도에서 사용을 제한하려는 후보물질 151종 가운데 114종(888만톤)이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에서는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생체축적성, 내분비교란성 등의 치명적 독성을 가진 물질에 대해서는 고위험 우려물질로 정의해 사용용도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이 물질이 함유된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에게 해당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고위험 우려 물질이 국내에서는 유통되고 있어 안전에 보다 각별히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심 의원실이 발표한 따르면,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고위험 우려물질은 PVC 플라스틱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발암성물질인 1,2-디클로로에탄으로, 지난해 일부 대기업들은 이 유해물질을 무단으로 방출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남자아이의 생식기 기형을 유발하거나 유산, 불임 등을 유발하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인 DEHP의 사용량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DEHP는 PVC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가소제로 사용될 뿐 아니라 향 성분 및 방향제, 락카스프레이 페인트 등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피해 때문에 세계적으로 각별히 관심을 갖고 있는 물질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물질들에 대한 정확한 용도가 파악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114종의 고위험 우려물질 중 정확한 사용처를 알 수 없는 ‘기타’로 분류된 물질은 80종으로 총 유통량은 312만톤이었다. 고위험 우려물질 유통량이 888만톤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의 35%가량이 사용용도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심상정 의원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영업비밀 등을 이유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자세가 아니다”라며 “우리나라도 유럽연합처럼 고위험성 우려물질의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