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강원도 원주를 비롯해 서울 강서구, 경북 경산, 전북 전주, 제주 등 5곳에 근로자건강센터가 추가로 문을 열었다. 이로써 전국적으로 모두 20곳에서 근로자건강센터가 운영을 하게 됐다.

지난 2011년부터 설치·운영되고 있는 근로자건강센터는 시간적, 경제적 여건으로 건강관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소규모사업장 근로자들에게 전문적인 건강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센터에는 전문의와 간호사, 작업환경 전문가, 상담심리 전문가 등이 상주하며 직무스트레스 및 근무환경에 대한 상담부터 건강진단 결과 사후관리, 업무적합성 평가, 근골격계질환 및 뇌심혈관 질환 예방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부적으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초검사를 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맞춤형 건강상담을 진행한다. 이에 더해 다양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준다. 특히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뇌심혈관계질환이나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의 개선을 위해 전문의와 일대일 상담을 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치료컨설팅을 받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다. 감정노동 등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상담도 가능하며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운동·영양·금연·절주 등 종합상담도 신청할 수 있다. 사실상 중소사업장의 근로자에게 종합적인 산업보건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특성에 기인해 흔히 근로자건강센터를 ‘영세사업장 근로자의 주치의’라고 부른다.

설립 취지도 좋고 운영의 질도 양호해 산업현장의 반응 역시 상당히 좋은 편이다. 매년 3만명이 넘는 근로자들이 이용을 하고 있는데다, 수십만건의 건강 상담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부응해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근로자건강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근로자건강센터는 전반적으로 순항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여전히 수동적인 운영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일부 찾아가는 서비스를 시행하고는 있지만 ‘영세사업장 근로자의 주치의’라는 명성에는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센터에서 지원·운영하는 서비스의 대부분은 근로자가 직접 찾아와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중소사업장의 근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운영 형태다. 정부도 알고 있듯, 중소사업장에 속한 근로자는 평소 제대로 된 건강관리를 받기가 어렵다. 인력과 자금 여유 등이 부족한 사업장이 많다보니 그에 속한 근로자들의 경우 늘 야근, 특근에 시달리는 등 자신의 건강을 챙기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갖기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질병이나 건강 위해요소가 악화되어 도저히 일을 하기 어려울 때가 돼서야 어렵사리 병원을 찾기 일쑤다. 이런 그들에게 평소 건강관리를 위해 근로자건강센터를 방문하라는 것은 어쩌면 ‘그림의 떡’을 먹으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지금도 많은 근로자들이 건강센터를 찾고는 있지만, 본 취지대로 진정 영세사업장 근로자들의 주치의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근로자건강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찾아오는 근로자를 기다리기보다는 센터가 정부와 지자체, 지역 사업주 등의 적극적인 협조를 얻어내어 근로자들을 찾아가야 한다. 그래서 숨어있는 건강 취약자를 찾아내고 향후 이들이 쉽고 편하게 센터를 방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물론 쉽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필히 해야 하는 것이다. 근로자건강센터는 근로자 건강보호의 최후 보루가 아닌 최일선 기지가 되어야 의미가 있다. 정부와 센터 모두 희생정신과 사명감을 갖고 노력해 주길 바란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감으로써, 고품질의 의료서비스가 영세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에게도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