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폭발 등 복합재난 대응역량 강화

경상북도에서 추진 중인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가 내년부터 본격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도는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안전분야의 특성상 경제성 도출이 매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년여에 걸친 철저한 준비로 예산을 배정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로봇을 활용해 화재·폭발·가스누출·붕괴 등 4대 복합재난의 대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농연·유독가스·고온고압 등 사람이 견디기 어려운 재난 환경에 로봇을 투입해 초기정찰 및 긴급대응작업 등을 수행하는 안전로봇을 연구 개발하는 사업인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6년에 걸쳐 71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로봇 개발계획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정찰, 긴급대응작업을 위해 지상에서 활동하는 분리합체형 ‘Scout robot’과 공간확보 및 작업지원용 ‘Fire robot’이 개발된다.

이어 개발된 로봇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복합재난 사고대응 지원용 다중로봇 통합관제 운용시스템’이 개발 운용될 예정이다. 이밖에 농연환경 극복을 위한 시각화 센서 모듈·인명 탐지 센서·확장형 네트워크 운용모듈 등 복합재난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로봇의 핵심부품들도 함께 개발한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상용화 단계를 거쳐 2024년부터 국민안전처 등 수요 기관에 로봇이 보급될 예정이다”라며 “이를 통해 향후 11년간 약 1조9000억원의 피해저감 효과와 5183억원의 시장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안전 프로젝트는 현 정부의 대선공약 사업이다. 박근혜 정부는 첨단안전산업 R&D분야에 올해 6000억원을 투자해 재난 과학기술강국 도약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경북도는 이번 국민안전 로봇프로젝트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기회로 삼아 정부 정책과 연계한 첨단 안전산업밸트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안전로봇시장 뿐 아니라 안전산업 전반에 대한 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추진되고 있는 국책사업인 수중건설로봇 개발사업과 연계해 경북 동해안을 극한환경 로봇산업 글로벌 허브로 육성하고, 포항(국책로봇사업), 경산(재해재난 특수목적건설기계개발), 영천(사회안전용 웨어러블 슈트 개발) 등을 연계한 첨단 안전산업벨트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앞으로 안전산업을 신창조경제의 성장동력으로 중점 추진해 경북이 국가 안전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