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이 지난달 15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업무상질병자 7678명 중 5174명(67.4%)이 근골격계질환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근골격계질환은 오랜 시간에 걸친 단순 반복작업으로 허리, 목, 어깨, 팔다리 등에 통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연도별로는 2010년 5502명에서 지난해 5174명으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단순 증감수치로 그 심각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더욱 예의주시해야 한다. 2010년 이후 매년 5000명대 수준으로 질환자가 발생하고 있는데다. 업무상질환자의 70% 정도를 근골격계질환자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의 산업특성을 보면 앞으로 점점 더 근골격계질환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 시급히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한 특성을 살펴보면,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2368명(45.8%)의 질환자가 발생해 가장 많았고 이어 기타의 사업(1908명, 36.9%), 건설업(559명, 10.8%) 등의 순으로 질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50인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3431명의 질환자가 발생해 전체의 66.3%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1607명(31.1%)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575명(30.4%)으로 뒤를 이었다. 40∼50대가 전체의 61.5%를 차지한 것이다.

최근의 산업비중은 갈수록 서비스업(기타의 사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근로자의 고령화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같은 특성은 앞으로 근골격계질환자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금부터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해 총력 대응에 나서지 않는다면, 얼마 되지 않아 큰 혼란이 초래될 수도 있다. 물론 지금도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현재 고용부와 공단은 자동차 제조 등 근골격계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업종의 약 5700여개 사업장을 선정해 중점 기술지원에 나서는 한편 근골격계질환 예방자료, 동영상 등을 광범위하게 배포하고 있다. 또 근골격계부담작업 보유사업장 3353개소에 대하여 작업환경 개선비용도 지원하고 있다.

매우 바람직하고 올바른 대책을 마련해 펼쳐나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부연하자면 여기에 조금만 더 적극적인 활동과 사업장의 자율의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이 더해졌으면 한다. 정부의 일방적인 지원과 투자만으로는 성과창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변화에 대한 의지가 없고 노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에게 무조건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다름없다. 근골격계질환이 다발할 위험성이 높은 사업장은 영세한 중소사업장이다. 이들 사업장은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이 낮으며, 사업주를 비롯한 근로자들이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치료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 게다가 이 극심한 취업난 속에 작업환경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피해가 눈에 쉽게 드러나지 않는 근골격계질환의 치료를 강하게 요구할 만한 근로자도 드물다.

이처럼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이 매우 높음에도 안전보건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영세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기존 정책을 더욱 강화해 시행하는 가운데, 이들이 사업주의 지원 하에 적극적인 치료와 예방활동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사업주가 근골격계질환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기존 정책에 대한 홍보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전국 근로자건강센터를 기반으로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근골격계질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예방이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현재의 정책에 더해 더욱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사전 예방시스템을 산업현장 전반에 뿌리내리게 할 수 있다면, 향후 치러야할 막대한 수습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