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도어 열리면 열차 출발 못해

스크린도어(승강장 안전문)가 열리면 자동으로 열차가 출발하지 못하게 제어하는 시스템이 오는 2020년까지 구축된다. 아울러 각 역사의 역무원은 스크린도어 안전관리자로 선임된다.

국토교통부는 철도역사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을 줄이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크린도어 안전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참고로 2013년 이후 스크린도어로 인한 사망사고는 총 7건 발생했다. 지난해 10월 김포공항역에서는 스크린도어 틈에 끼어 승객이 사망했고, 같은 해 5월 구의역에서는 정비원이 사망하는 등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들 사망사고 외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717개 철도역사에서 최근 4년간 발생한 고장건수는 총 7만4238건에 달한다.

국토부는 대부분의 스크린도어(45%)가 2007~2009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설치되면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못했고, 품질관리도 미흡한 것이 사고 및 고장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스크린도어 안전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관제센터 중심의 2중 감시체계 구축 등 스크린도어 관리운영체계 강화 ▲상·하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 시범 도입 ▲노후된 스크린도어 철거 및 교체 ▲스크린도어 품질 및 설치기준 강화 ▲스크린도어 안전보호벽 구조 개선 ▲이용자 안전의식 확산 등이다.

국토부는 먼저 철도역사 역무원의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고, 관제센터 중심의 2중 감시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각 역사의 역무원을 스크린도어의 안전관리자로 선임토록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한 스크린도어 고장 시 관제사가 열차의 진·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고장 시 알람을 표출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도 올해 안에 구축한다.

이와 함께 위아래로 문이 열리는 상·하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한국교통연구원이 개발)를 논산역에 시범 설치해 신뢰성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상·하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는 운행하는 열차의 종류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토부는 또한 스크린도어가 노후화돼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높은 방배·신림·성수·을지로3가·김포공항·우장산·왕십리·군자·광화문역 등 9개 역사의 스크린도어를 철거한 후 새로 설치할 방침이다. 아울러 장애물 검지센서 고장으로 인한 스크린도어의 오작동을 줄이기 위해 광역철도 30개 역사, 도시철도 267개 역사의 장애물 검지센서를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교체한다.

특히 국토부는 스크린도어가 열렸을 때에는 자동으로 열차가 출발하지 못하도록 스크린도어와 열차를 제어하는 장치를 서로 연동하는 시스템을 2020년까지 구축하고, 기관사가 운전실에서 승객의 끼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가 넓은 곳에는 CCTV를 설치한다.

스크린도어의 품질 및 설치기준도 강화된다. 국토부는 스크린도어의 부품별 진동·충격, 방진·방수에 대한 내구성 시험방법을 철도표준규격(KRS)에 마련해 품질을 높이고, 제품의 성능이 표준규격을 만족하고, 기술과 인력을 갖춘 제작자가 스크린도어를 제작하도록 형식승인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토부는 열차 내 화재발생 등 비상 시 스크린도어의 안전보호벽을 승객이 수동으로 열고 열차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전보호벽을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개선한다.

마지막으로 스크린도어가 닫히는 도중에는 무리하게 승·하차하지 않도록 이용자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한 홍보활동에도 적극 나선다.

박영수 국토부 철도시설안전과장은 “사고 예방 효과가 큰 관리운영체계를 우선 개선하고, 오래되어 낡은 스크린도어를 교체하는 등 시설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철도운영기관 및 교통안전공단 등 유관기관과 함께 이용자의 안전수칙 준수를 위한 홍보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