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관리 부주의 등 ‘안전불감증’이 원인

 


한 번 발생하면 인명피해로 직결될 수 있는 화학사고가 경기지역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현재 경기지역에 등록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는 모두 3206곳으로, 전국 등록 업체(1만1500여곳)의 약 28%를 차지한다.

이들 업체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휘발유, 시너부터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해화학물질을 다루고 있는데 그 양은 924만8000여톤에 이른다.

이처럼 대규모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경기지역에서는 매년 크고 작은 화학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3년 31건, 2014년 36건, 2015년 36건으로 매년 30여건 이상씩 발생했고,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인 18건으로 줄어들었다.

사고 건수가 감소했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화학사고는 화학물질이 누출·유출됐다가 폭발 또는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또 화학물질 자체로도 질식 재해를 야기시킨다. 그만큼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4월 30일 이천시의 한 반도체 공장에서는 장비 설치 공사를 하던 근로자 3명이 질소가스에 질식해 숨졌다. 2017년 4월 13일에는 화학물 제조공장에서 불이 나 공장 건물 1개 동 204㎡를 태우고 1시간 40여분 만에 꺼졌다. 이 불이 인화성 물질인 아세트산에틸 등을 보관하던 창고로 번졌더라면 대형 폭발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다. 이밖에도 2017년 4월 23일에는 안산시 소재 대형 식품공장에서 염산이 유출돼 근로자 2명이 부상을 입기도 했다.

◇관리 부주의가 원인…예방과 관리가 중요
이처럼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화학사고의 원인은 취급업체의 관리 부주의 등 안전불감증을 꼽을 수 있다.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8건의 사고 가운데 14건(77.8%)은 관리자 부주의 또는 시설관리 미흡으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36건의 사고 가운데 32건(88.9%)도 이 같은 이유로 발생했다.
재난안전본부는 대부분의 화학사고가 시설관리 미흡, 관리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보고 노후 시설 개·보수와 안전관리 대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선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대해 사전 정보 파악 등을 위한 목적으로 관리카드를 작성해 관리하는 한편,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 행동매뉴얼’도 환경부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개정 작업을 하고 있다.

도 재난안전본부의 한 관계자는 “화학사고는 사고 현장 주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평소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면서 “사고를 대비한 정보공유, 대응 방안 마련과 함께 혹시 모를 복구 대책도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