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포격 이후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최근 실시됐던 특별 대피 훈련과 관련해 실효성이 없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5일 오후 2시 북한의 포격 등 비상상황을 가상한 민방공 특별 대피훈련이 열렸다.

이번 훈련은 국민들이 적의 폭격 등 위험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요령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 공습경보 발령과 동시에 직장과 학교, 가정에 있던 국민들이 지하철역과 지하보도 등 지정된 대피 장소로 피하는 게 훈련의 주요 내용이었다.

하지만 훈련 시나리오와는 달리 국민들의 참여가 극히 저조하면서 훈련은 반쪽이 되고 말았다.

일례로 훈련 시작 전 소방방재청은 차량 운전자도 대피시킨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서울 광화문광장에서는 차에서 내려 대피하는 운전자를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대다수의 승객들이 날씨가 춥다며 통제요원의 협조 요청에도 불구하고 버스에서 내리지 조차 않았던 것.

대학가의 경우는 기말고사 기간과 겹쳐 사실상 훈련 사각지대로 방치됐다.

이런 상황 속에 1975년 민방위대 창설 이후 최대 규모라던 특별 대피 훈련은 맥빠진 졸속행사라는 평가를 받으며 막을 내렸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향후 훈련의 경우에는 시민들이 높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 홍보활동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