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도 낮고 정형화된 업무는 사라질 가능성 높아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되면 콜센터 상담원, 매장 계산원, 금융사무원 등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보고서에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라지거나, 새롭게 떠오를 일자리를 예측했다.

보고서는 먼저 직무를 숙련 수준과 정형화 정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저숙련·정형업무는 기술 대체 가능성이 높다. 단순조립, 계산 및 출납, 시설안내, 창고관리 등의 일자리는 기계화와 자동화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클 것이므로 기술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고숙련·비정형업무의 경우, 기술 대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개발, 공정관리, 설비 유지보수, 판검사, 의사 등의 직무가 대표적이다.

또 저숙련·비정형업무도 기술 대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진단했다. 정육가공(발골), 청소, 간병, 육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고숙련·정형업무는 기술 대체 가능성을 ‘중간’ 정도로 내다봤다. 회계사무, 법률사무, 통·번역, 임상병리, 영상의학분석 등의 일자리가 그것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유망 직업으로 ▲사물인터넷 전문가 ▲인공지능 전문가 ▲빅데이터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3D프린팅 전문가 ▲드론 전문가 ▲생명공학자 ▲정보보호 전문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로봇공학자 등 10개를 꼽았다.

위기직업으로는 ▲콜센터 요원(고객상담원 및 안내원) ▲생산 및 제조관련 단순종사원 ▲의료진단 전문가 ▲금융사무원 ▲창고작업원 ▲계산원 등을 꼽았다. 

아울러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산업과 직업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근무(모바일, 원격근무)가 확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용형태 역시 온라인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온디맨드 서비스(services on-demand)의 확산으로 프리랜서 또는 프로슈머 등 다양한 고용형태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되면 콜센터 상담원, 매장 계산원, 금융사무원 등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보고서에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라지거나, 새롭게 떠오를 일자리를 예측했다.
보고서는 먼저 직무를 숙련 수준과 정형화 정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저숙련·정형업무는 기술 대체 가능성이 높다. 단순조립, 계산 및 출납, 시설안내, 창고관리 등의 일자리는 기계화와 자동화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클 것이므로 기술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고숙련·비정형업무의 경우, 기술 대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개발, 공정관리, 설비 유지보수, 판검사, 의사 등의 직무가 대표적이다.
또 저숙련·비정형업무도 기술 대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진단했다. 정육가공(발골), 청소, 간병, 육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고숙련·정형업무는 기술 대체 가능성을 ‘중간’ 정도로 내다봤다. 회계사무, 법률사무, 통·번역, 임상병리, 영상의학분석 등의 일자리가 그것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유망 직업으로 ▲사물인터넷 전문가 ▲인공지능 전문가 ▲빅데이터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3D프린팅 전문가 ▲드론 전문가 ▲생명공학자 ▲정보보호 전문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로봇공학자 등 10개를 꼽았다.
위기직업으로는 ▲콜센터 요원(고객상담원 및 안내원) ▲생산 및 제조관련 단순종사원 ▲의료진단 전문가 ▲금융사무원 ▲창고작업원 ▲계산원 등을 꼽았다. 

아울러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산업과 직업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근무(모바일, 원격근무)가 확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용형태 역시 온라인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온디맨드 서비스(services on-demand)의 확산으로 프리랜서 또는 프로슈머 등 다양한 고용형태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일자리 위기 대응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 절실
한편 보고서는 각 주체별로 일자리 위기에 대한 대응전략도 제시했다.

우선 산업계의 경우 공장자동화 등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노동자와 노조가 이해를 같이하고, 근무 장소와 근로시간, 채용, 교육훈련 등 조직 및 인사관리 제도를 유연하게 재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동단체의 경우 책임있는 자세로 사측과 함께, 직무변화가 크고 일자리 위기에 있는 직종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재교육에 적극 나서고, 근로생활 전반의 변화를 연구하고 대책을 세워 나가는 등 고용시장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국민의 안전과 위생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신직업 발굴과 창업 및 창직 활성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으로 실직하거나 노동시장에서 낙오되는 사람들을 위해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