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광수 교수(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산안위가 안전한 현장관리의 출발점이지만 단점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항이 고위 관리자로 이루어진 딱딱한 회의 문화나 일방향적인 소통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면 산안위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관련 사안을 충분히 다루기 어렵거나 의사결정 과정이 느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리고 산안위 참가자들의 조직 내에서의 권력 관계 혹은 차이로 인해 법안과 관련한 규제 및 집행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산안위는 사업장의 안전보건프로그램에 대해 경영진 및 근로자를 교육하고 흥미를 갖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산안위는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련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모니터링하는 책임을 경영진과 근로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보통 함께하기 어려운 서로 다른 부서의 직원들이 함께 모여 안전 이슈에 대해 협력하고 생각을 교환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 좋은 방법이다. 추가적으로 전사에 적용될 수 있는 넓은 범주의 방침을 만들 수 있다.

산안위의 주요 기능은 방침 제정 (policy making), 점검 (inspection), 위원간 상호이해와 의사소통(indoctrination or communication)과 같이 크게 세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산안위에서는 주기적으로 안전보건 부서에서 보고하는 사고/상해 및 질병에 대해 검토한다. 심각한 질병이나 비일상적으로 위험한 상태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기반으로 하여 원인을 찾고 관련된 방침을 제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보건 부서 직원들의 사고 분석 역량이 충분히 높아야 하고, 근원적인 원인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산안위를 통해 사업장의 안전과 관련된 주요 지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안전보건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부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논쟁도 해결할 수 있다.

다른 기능은 점검이다. 산안위에는 근로자 및 관리자가 참여한다. 근로자는 본인의 작업과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가장 잘 알기 때문에 관리자가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볼 수 있으며 현장 관리자들도 현장의 위험에 대해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장의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을 점검하는데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모든 위험에 대해 점검할 수는 없지만 전체 조직에 적용되는 위험이나 중대재해와 관련된 위험에 대해 다룰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은 교육이다. 산안위 참여자들로 하여금 안전보건프로그램을 준수하고 흥미를 가지게 하며, 안전에 대한 좋은 태도를 함양할 수 있게 한다. 안전을 중요시하지 않았던 근로자나 경영진은 산안위에 참석한 이후 안전보건프로그램의 후원자가 되기도 한다. 산안위에 다른 사람들을 교대로 참여시키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산안위에 참석했던 참석위원들이 그들이 속해있는 집단에 회의 안건에 대해 전달할 수도 있다.

Morse 등(2013)의 연구에서도 산안위에 참여하는 근로자의 수가 많을수록 재해율이 낮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이 세 가지의 기능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중견기업 이상의 사업장은 방침 제정의 기능을 가지는 산안위를 두는 것과 같이 각 별도의 위원회를 따로 두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사업장은 하나의 위원회에서 세 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도 중요하지만 산안위를 통한 안전 문제에 대한 빠른 조치, 산안위 구성원들에 대한 훈련 그리고 안전 관련 사안에 대한 다른 부서들의 협조가 단기적으로는 재해 예방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Morse 등, 2013). 이러한 안전에 대한 방침과 조치는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경영진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전 방침을 제정하고 조치하는 산안위에는 주요 경영진이 참석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산안위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논의 그리고 조치와 대응에 대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각 조직의 규모나 위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운영 방법에 대해서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산안위 활성화를 위해서는 근로자 대표들의 산안위 활동에 대한 보장과 노-사 간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Morse, T., Bracker, A., Warren, N., Goyzueta, J., & Cook, M. (2013).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health and safety committees: Survey result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6(2), 163-179.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