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성인 1000명 대상 여론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제공 : 뉴시스
이미지 제공 : 뉴시스

국민 절반 이상은 정부가 추진하려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국노총)은 여론조사기관 STI에 의뢰해 지난달 25~26일 양일간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임금체계 개편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가 직무·성과급제로 임금체계를 개편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50.7%가 반대, 33.3%가 찬성이라고 밝혔다.

특히 2030세대에서도 직무·성과급제 도입 반대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의 48.2%가 반대했고, 찬성은 27.9%였다. 30대도 30.2%만 찬성했고, 55.2%는 반대했다.

‘정부 주도로 직무·성과급제가 도입된다면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업종 간에 조성된 임금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8.6%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은 30.5%에 그쳤다.

임금노동자라고 답한 조사 참여자들의 설문 결과만 놓고 보면, 부정적 의견은 더 많았다. 직무·성과급제 개편 반대 비율은 58.4%로 높아졌고, 임금격차 해소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도 65.9%로 조사됐다.

근속연수와 경력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연공급제에 대해서는 전체 조사 참여자의 42.8%가 찬성, 28.4%가 반대라고 밝혔다. 다만 임금노동자 중에선 찬성 38.4%, 반대 32.9%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임금 인상 유인 여지 없어”
현재 정부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확산을 추진 중이다. 연공급 임금체계가 이직이 잦은 현 노동시장에 맞지 않으며, 젊은층에서 불공정 여론이 높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구체적인 방식은 관련 전문가 논의체인 미래노동시장연구회를 통해 마련하고 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노총회관에서 열린 ‘임금체계 대안 모색 토론회’에서 “윤석열 정부는 2015년 박근혜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연상케 하는 미래노동시장연구회를 출범시켜 강행 추진하고 있다”며 “미리 답을 내고 일방 추진하는 직무·성과급은 정답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박명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직무·성과급제 도입은 대기업 임금 인상을 제어하는 효과는 낼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임금 인상을 유인할 여지는 없다”며 “임금 하향평준화를 통한 미미한 격차 완화 효과를 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직무·성과급제가 자칫 대기업 임금 깎기로 귀결될 수 있다는 얘기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대기업 임금체계의 연공성을 완화시키기 위한 직무성과급제 도입에 앞서, 중소기업·비정규직 중심의 2차 노동시장을 위해 ‘산별 임금체계’를 만드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업별로 직무와 근속연수를 반영한 표준 임금표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제도를 마련해 노동시장 하단의 임금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장 역시 “1차 노동시장에서 연공성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임금구조를 개선하면서 2차 노동시장을 대상으로 산별연대임금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무임금체계가 다수인 2차 노동시장에서 업종 전체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무급 임금체계과 업종·직종별 표준임금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무작위 걸기(RDD)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4.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