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석 대변인 | 소방방재청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가을이 되면 전형적인 가을철 3대 전염병이라 부르는 쯔쯔가무시증, 유행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같은 열성 질환이 유행하게 된다. 이들 질환은 등산을 하거나 농촌의 밭과 논 등 야외에서 일할 때 많이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나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요즘 감염병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 자리를 통해 각 전염병의 전염경로와 증상, 그리고 예방법 등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첫째, 쯔쯔가무시증이다. 우선 진드기를 피해야 한다. 쯔쯔가무시증은 동남아시아 및 극동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감염증으로, 농부, 군인 및 야외활동을 자주 하는 사람들이 많이 감염되는 질환이다. 급성 열성 전염병의 일종으로 쥐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물려서 감염된다.

진드기 유충이 사람 피부를 물 때 쯔쯔가무시균이 인체 안에 들어가 증식하면서 발생한다. 보통 1~2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두통, 피부 발진 및 림프절 비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 발진은 발병 후 5∼8일간 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 등으로 나타난다. 보통 독시사이클린 항생제를 사용하면 투여 후 36~48시간 안에 열이 떨어진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발된 백신이 없기 때문에 야외활동 또는 작업을 할 때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둘째, 유행성출혈열이다. 잔디에 오래 있지 말아야 한다. 유행성출혈열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수백 명의 환자가 생기고 치사율도 7% 정도로 높은 질환이다. 보통 10~11월 늦가을에 들쥐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도시의 시궁쥐 등도 바이러스를 매개할 수 있다.

쯔쯔가무시증과 마찬가지로 야외작업이 많은 사람에게 잘 감염되고, 잠복기는 평균 2~3주 정도다. 병에 걸리면 발열,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심하면 폐부종, 출혈, 신부전 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예방백신이 있지만 효능에 대한 논란이 많기 때문에 현재 고위험군에게만 접종을 권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선의 예방법은 유행성출혈열이 유행하는 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이다. 또 야외작업 시 잔디 위에 눕거나 잠을 자지 않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한 예방법이다.

셋째, 렙토스피라증이다. 상처 난 피부를 통한 감염을 막아야 한다. 렙토스피라증은 급성 전신감염증으로 9월, 10월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4년에 처음 인체감염이 보고된 이후 현재 전국에서 매년 약 100~3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1987년에 백신이 개발돼 환자 발생이 줄었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감염된 동물의 오줌에 오염된 젖은 풀, 흙, 물 등이 상처가 난 피부에 접촉되면서 감염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폐출혈, 뇌막염, 간ㆍ신장 기능장애 등이 있다. 만약 농부 및 하수도 종사자 등 흙이나 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장화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최근 공공근로 및 숲가꾸기 사업 등 야외작업이 지자체마다 활발히 펼쳐지고 있다. 또한 선선한 날씨와 더불어 산과 들을 찾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들 모두 조그마한 방심으로 인해 예기치 않게 전염병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가을철에 발병할 수 있는 전염병으로부터 나와 가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하는 것이 어느때 보다 절실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