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사고, 육상사고 대비 사망위험 2배 이상 높아

정부가 해상 교통 혼잡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모델 개발에 나선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과 함께 AI 기반 데이터 분석모델을 연내 개발한다고 19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집계된 전체 해양사고 사상자는 2479명이며, 이 중 선박 간 충돌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31.5%인 782명으로 확인됐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선박 간 충돌사고를 막고, 우리나라 인근 해역의 해상 교통 혼잡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수부와 해양경찰청이 각각 관리하고 있는 선박위치발신장치로부터 수집된 선박의 위치, 선수방위, 속도 정보 등을 활용하여 해상에서의 시간대별, 격자별 교통량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1시간 후의 교통량과 혼잡도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혼잡한 해역을 지나게 될 선박들은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해 경로를 우회하거나,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보다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게 된다.

정선용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해양사고는 육상사고에 비해 사망위험이 약 2배 이상 높은 만큼 특별한 안전관리 조치가 필요하다”라며 “이번 인공지능(AI)기반 예측 모델 개발과 활용이 안전한 해상활동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