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중견기업 외국인고용허가제 수요조사’ 발표

지난 6월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에 네팔에서 온 외국인근로자들이 입국하고 있다. (사진제공: 뉴시스)
지난 6월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에 네팔에서 온 외국인근로자들이 입국하고 있다. (사진제공: 뉴시스)

뿌리업종 중견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뿌리 중견기업의 69.0%가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으며, 56.7%는 외국인고용허가제 기준이 완화되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5일 이러한 내용의 ‘중견기업 외국인고용허가제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3일부터 7월 25일까지,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뿌리 중견기업 87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고로 뿌리기업은 주조, 금형, 용접, 표면처리 등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업종을 말한다.

조사에 따르면, 뿌리 중견기업의 69.0%가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시점 기준으로 이들 기업의 신규인력 수요는 기업당 평균 41.3명으로 조사됐지만, 실제 충원된 인력은 8.5명에 불과했다. 직종별 인력부족률은 ‘생산직(79.9%)’, ‘사무직(79.4%)’, ‘생산지원직(66.7%)’, ‘단순노무직(66.7%)’ 등으로 집계됐다.

뿌리 중견기업의 56.7%는 ‘외국인고용허가제 기준이 완화되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겠다’고 답했다. 외국인 근로자가 필요한 직종은 상대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사무직’을 제외하면 ‘생산직’이 82.4%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다음으로 ‘단순노무직’, ‘생산지원직’이 각각 17.6%, 14.7%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업무 강도 증가에 따른 근로자 이탈(85.7%)’을 1순위로 꼽았다. 그밖에 ‘납품 지연(14.3%)’, ‘생산 설비 가동 중단(14.3%)’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련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 인력 부족으로 이직률이 증가하고 근속년수가 단축되면서 기술 숙련도와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력난의 원인으로는 ‘지방 소재(38.3%)’, ‘대기업 대비 낮은 임금(35.0%)’, ‘이직(21.7%)’, ‘뿌리 산업 기피(20.0%)’, ‘열악한 주변 인프라(11.7%)’ 등이 꼽혔는데, 수도권과 지방 소재 뿌리 중견기업들은 각각 ‘대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44.4%)’, ‘지방 소재(50.0%)’가 가장 큰 이유라고 지목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지난 달 ‘제4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300인 이상 비수도권 소재 뿌리 중견기업까지 외국인고용허가제를 확대한 조치는 매우 바람직하지만,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하다”라며, “전체 제조 중견기업까지 외국인 고용을 확대하는 한편, 교통·주거·문화 등 지역 인프라를 강화하는 종합적인 인력 정책을 통해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하락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