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 도중 연기 질식 사망 빈번

출처 : 소방청
출처 : 소방청

다수의 입주민들이 거주하는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화재 발생 장소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절차가 오히려 위험한 경우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년) 국내 아파트에서 총 8360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1040명(사망 98명, 부상 942명)의 인명피해가 났는데, 이 중 39%가 대피 중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는 다른 층으로 연소 확대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대피 도중 연기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올바른 대피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실제 지난 3월 6일 수원의 한 아파트 1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상층 입주민들이 대피하던 중 연기에 의해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불은 다른 층으로 번지지 않았는데 40여 분만에 모두 꺼져 오히려 집 안에 대기하는 편이 안전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소방청은 아파트 화재 시 입주민들의 피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입주민은 자기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땐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으면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이나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현관 입구 등에서의 화재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피 공간이나 경량칸막이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해 대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다른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자기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집 안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는 것이 좋다. 자기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면 자기 집에서 발생한 경우와 같이 각각 행동해야 한다.

소방청은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4개월 간 ‘우리 아파트 피난계획 세우기’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동참해 자기 아파트 환경에 맞는 대피계획을 세우고 대피경로를 작성 및 공유하고, 소방·피난시설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골자다.

박성열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장은 “화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피난안전대책을 개선한 것에 이어, 더욱 효과적인 화재안전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피난 안전을 위해 평소 가족회의를 통해 유사시 어떻게 피난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