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정책연구원 보고서
"건설경기 반등 없으면 내년부터 건설업체 전반적 부실 본격화"

건설업계에서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이 전체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 전체의 이자보생배율은 4.1배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건설업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에는 5.6배로 하락했다가 이후부터는 계속 상승한 후 지난해 4.1배로 급격히 낮아졌다.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잠재적 부실기업 비중은 2018년 32.3%(642개사)에서 지난해 41.6%(929개사)까지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의 업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잠재적인 부실기업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이면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개사였다. 이는 전체의 18.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5.8%에서 2021년에는 17.3%, 2022년에는 18.7%로 증가하는 등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토목건설업의 한계기업 수가 2020년 67개사에서 2022년 96개사로 늘어 3년 만에 43.3% 상승했다. 건물건설업은 2020년 149개에서 2022년 183개사로 늘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전체 387개사 중 54개사로 14.0% 비중을 차지했으며, 중소기업은 333개사로 86.0%를 차지했다.

한계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17.4%)보다는 비수도권의 비중(20.3%)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수도권(0.8%포인트)보다 비수도권의 증가율(2.3%포인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의 증가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의 증가가 이뤄진 가운데 물가상승으로 인한 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의 부담이 급증한 것이 원인이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지속적으로 오른 건설자재 가격 탓에 건설업체의 수익률이 악화됐다. 건설산업은 외부환경에 대한 민간도가 높아 경제위기에 취약해 연쇄부도와 일자리 감소 등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꼽히고 있다. 건설경기의 하락이 올해부터 본격화되고 있어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연구원은 진단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김태준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올해 건설업의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2024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며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부도, 흑자도산이 이뤄지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