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난 대피소’의 공동활용을 추진한다. 기존에 재난 유형별로 제각각 운영되오던 것을 통합해서 활용하는 식으로,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1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피소는 사고와 재난 유형 별로 4종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사태취약지역 대피소(9298개) ▲화학사고 대피소(1554개)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1만5110개) ▲민방위 대피소(1만7483개) 등으로 전국에 총 4만3445개가 운영 중이다.

문제는 재난 종류에 따라 대피해야 하는 시설이 다르다보니 일반 국민들의 경우 가뜩이나 위급한 상황에서 찾아서 가야하는 대피소가 어딘지 파악하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다.

박종현 행안부 민방위 심의관은 “재난 대피소가 종류별로 나뉘어 있어 국민들이 활용에 혼란을 느낀다는 지자체의 건의가 있었다”라며 “대피소로 활용되는 시설은 대부분 학교 체육관, 경로당, 마을회관 등 성격이 비슷한데, 재난 종류별로 운영하는 게 효율적이 않다고 판단돼 공동활용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행안부는 대피시설 현황을 파악 중이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부터 재난 대피소를 공동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단 지하에 위치한 민방위 대피소는 재난 대피소와 공동 활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한편 재난 대피소 시설은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 및 안전디딤돌 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네이버와 카카오, 다음, 티맵 등 4개 포털에서 ‘대피소’로 검색하면 가까운 대피소를 파악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