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제는 1962년 박정희 대통령의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실행 이후 2차, 3차, 4차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한 발전의 그늘에는 항상 산업재해 1등국이라는 오명이 함께 했다.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해 산업재해 문제에 대해 간과하여 온 결과였다.

그러다가 1996년 OECD가입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산업재해 1등국의 오명을 벗어 던지고, 재해율 1%대 미만에 진입했다. 그 이후에도 꾸준하게 산업재해 예방활동을 추진하여 지난해 비로서 산업재해율 0.7%대 미만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산업구조의 변화를 감안하면 이러한 성과에 안주해야 될 때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0년 제조업의 근로자수는 3,196,182명으로 이중 재해자수는 34,069명이다. 서비스업을 포함하는 기타산업 분야의 근로자는 7,024,199명으로 이중 재해자수는 36,538명으로 나타났다. 이미 기타산업에 근로하는 근로자수가 제조업의 배 이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산업재해 또한 제조업 재해자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도 이제 기타 산업분야(서비스업)의 산업재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건강·안전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작업장위험요인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이다. 서비스분야의 작업은 육체적으로 격렬한 작업을 요하지 않으나, 연구결과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들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예로 호텔업, 음식업, 운수통신분야 근로자의 경우 반복적 작업과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허리, 상지 및 목부위의 부담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리, 교육업, 음식업, 청소업, 도소매업분야 근로자의 경우는 장시간 서서하는 작업으로 인해 하지부위의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둘째로 심리 사회학적 위험이다. 2005년 유럽 작업환경연구에 따르면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경우 심리 사회학적으로도 위험에 노출되면서 그에 따른 건강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빠른 업무속도 등의 작업강도와 고객응대로 인한 부담감, 직장 내 따돌림과 희롱 등이 근로자들의 심리 사회학적 질환의 위험을 높이면서, 스트레스, 수면문제 등 건강관리에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선진국들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이미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해놨다.

건강관리 측면에서는 작업의 위험성평가와 관리방법,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환자취급방법 및 예방방법,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산업현장에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약제 내성군과 같은 생물학적 위험, 심리·사회학적 위험,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 복잡한 인간관계에 따른 새로운 위험요인 등에 대해서도 사전에 철저히 파악하여 그에 맞는 예방법을 실행해나가고 있다.

교육 측면에서는 통합 산업안전보건을 위한 시스템적 전략을 수립하여, 그에 따른 교육 및 훈련을 체계적으로 시행해나가고 있다. 교육훈련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학교 및 대학, 직업교육과정에서 학생과 직원을 위한 안전보건교육을 크게 강화해나가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여기에 교실에서의 소음노출, 내부 작업장 오염문제 등과 같은 새로운 위험요인도 사전에 파악·대처해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산업구조로 변화한지 오래됐지만 지금까지의 재해예방은 제조·건설업에만 치중되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최근 변화하고 있는 산업구조를 감안하면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답은 명확하다. 위와 같은 선진국들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제 우리나라도 기타산업분야의 산재예방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