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서 보유 노후장비 교체 위한 국고지원 확대 필요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발생 시 초기 현장대응을 담당하는 전국 소방관서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대응장비와 물품의 노후율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노후화는 사용연한이 지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만큼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유대운 의원(민주당)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생화학보호복의 노후율은 무려 45.7%에 달했다.

아울러 오염물질 누출확산 방지장비(33.7%), 화학·생물작용제 탐지장비(18.5%), 제독·해독제(17%), 중화제 살포·제독기(14.5%) 등의 노후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별로는 강원도가 보유하고 있는 장비의 노후율이 심각한 수준이었다. 무려 3개의 장비·물품 노호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생화학보호복의 경우 244개 가운데 199개의 사용 연한이 지나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81.6%의 노후율을 기록했다. 화학·생물작용제 탐지장비도 21개 가운데 15개가 노후화돼 가장 높은 노후율(71.4%)을 보였다.

특히 중화제 살포·제독기는 4개 가운데 3개가 사용연한이 지난 75%의 노후율을 나타냈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무려 5배 이상 높은 수치다.

강원 외에 충북은 오염물질 누출확산 방지장비 116개 가운데 75개의 내구연한이 지나 노후율(64.7%)이 가장 높았고, 대구시의 경우 95개의 제독·해독제 가운데 52개(54.7%)가 노후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유해화학물질 대응장비·물품의 보유량 역시 지역별로 천차만별이었다. 노후연수가 지나지 않은 장비를 기준으로 했을 때 광주의 경우 구조대 1개소당 평균 35개의 생화학보호복을 구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경북은 2.4개에 불과했다.

제독·해독제의 경우 울산은 구조대별로 평균 159.3개를 보유하고 있지만, 서울은 단 하나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오염물질 누출확산 방지장비 역시 울산은 구조대별로 45.3개를 보유하고 있지만 서울은 구조대별 평균 1개를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 의원은 “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1차적으로 현장 대응을 해야 하는 소방관들의 장비가 부실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국고지원 등을 늘려 필요 장비와 물품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그는 “유해화학물질 대응장비는 대테러 장비와 겹치는 것들이 많다”라며 “단순히 우리 지역에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사업장이 없다는 안일한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