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시설 측정점검 강화, 시설 개선 등 성과

대표적인 발암물질 중 하나인 다이옥신의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전국 약 1800여개 소각시설 및 비소각시설(철강, 비철금속, 에너지 등 산업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다이옥신 국가배출량이 ‘120.9g I-TEQ’를 기록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이는 2001년 수치(1004g I-TEQ)에 비해 88%나 감소된 결과다.

I-TEQ는 다이옥신 이성체 중 가장 독성이 강한 2,3,7,8-TCDD (Tetra Chloro Dibenzo Dioxin)의 독성을 1로 한 다음, 이를 17가지의 다이옥신에 대하여 기준 값으로 적용하여 나타낸 다이옥신 농도를 말한다.

이번 다이옥신 배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1년 국내 소각시설(폐기물처리시설)은 ‘42.8g I-TEQ’의 다이옥신을 배출하여 전체 배출량의 35.4%를 차지했다. 이는 2001년 배출량 ‘880g I-TEQ’ 대비 95% 감소한 수치다.

비소각시설의 배출량은 ‘78.1g I-TEQ’로 전체 배출량의 64.6%를 차지했다. 이는 2001년 배출량 ‘123.8g I-TEQ’ 대비 37% 감소한 수치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다이옥신 감소 추세는 같은 기간 일본의 다이옥신 저감율(92%)과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이라면서 “이제 우리도 다이옥신의 배출 관리에 있어서 환경 선진국에 근접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간 배출허용기준의 설정, 측정망 운영을 통해 다이옥신 농도의 감시와 배출시설에 대한 측정 점검을 강화했다”면서 “영세업체의 시설 개선 유도 등 다양한 저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이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다이옥신은 화학물질 중에 가장 위험하다고 알려진 물질로 주로 폐기물, 석탄, 석유 등을 태우거나 제철제강, 비철금속 등 산업활동에 따라 비의도적으로 발생되어 주변에 배출된다.

환경부는 다이옥신 배출량 관리 및 저감을 위하여 2001년, 국내 실정에 맞는 다이옥신 배출원 분류체계와 배출량 산정기법을 개발한 바 있다. 이후 환경부는 비소각시설 및 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실측사업을 통해 2005년에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목록)을 최초 발표했고 이후 2년마다 공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